달력

1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class 초기화만 해당된다.

class SomeClass : NSObject{
    let someValue1 : TempObject;
    let someValue2 : TempObject2?
    var someValue3 : Int;
    init( _ someParam : TempObject){
        someValue1 = someParam;
        someValue2 = TempObject2();
        super.init();
        someValue3 = 5;
    }
}


일단 지정 초기화, 편의 초기화 설명 보다 먼저,
let 으로 선언된 변수는 super.init() 이전에 초기화가 이루어 져야한다.
그리고 나중에 설명 하겠지만 let 변수는 꼭 (designed)정의 초기화에서 초기화가 되어야 한다.
일단 옵셔널로 정의된 건 nil 로 초기화가 가능한데, let 변수이니, nil로 선언되면 변경이 안되니 nil로 초기화 할 거면 let 이 아니라 var 로 선언 하는게 좋을듯 한다.

편의 초기화 접두어는 convenience 를 사용 하면 된다. 뭣 하는 녀석인고 하면

class SomeClass {
    init(v1 : Int, v2 : Int, v3 Int){
        //someCode
    }
    convenience init(v1 : Int){
        self.init(v1 : v1, v2 : 5, v3 : 3)
    }
}

요런거에 사용 되는 녀석이다. 딸랑 요것만 있음 뭔지 모르지.. 아래에 있는 걸 다시 보자.

class SomeClass {
    init(v1 : Int, v2 : Int? = nil, v3 : Int? = nil){ //지정 초기화
        //someCode
    }
    convenience init(v1 : Int){ // 편의 초기화
        self.init(v1 : v1, v2 : nil, v3 : nil)
    }
}

//초기화
let someClass : SomeClass = SomeClass(1);

v1 파라미터만 넘기고 싶을때 사용하면 된다.
내부적으로 v2, v3 에는 nil 이 지정 초기화로 넘어가게 된다.

여기서 조금 생소한 부분이 나온다.
편의 초기화는 내부에 꼭 다른 초기화 내용이 있어야 한다. 위의 self.init(v1 : v1, v2 : nil, v3 : nil) 과 같이 말이다.
여기서 편의 초기화에서 편의 초기화를 호출 해도 된다.

class SomeClass {
    init(v1 : Int, v2 : Int? = nil, v3 : Int? = nil){ // 마지막 호출
        //someCode
    }
    convenience init(v1 : Int){ //최초 호출
        self.init(v1 : v1, v2 : nil)
    }
    convenience init(v1 : Int , v2 : Int){ //두번쨰 호출
        self.init(v1 : v1, v2 : v2, v3 : nil);
    }
}
// 초기화
let someClass : SomeClass = SomeClass(v1 : 3);

여기서 상속 받을 경우는 어떻게 되는가를 궁금해 하는 사람이 있을 것 같아 제일 위에 있는 소스를 참고해서 보자.

class SomeClass : NSObject{
    let someValue1 : TempObject;
    let someValue2 : TempObject2?
    var someValue3 : Int;

    override init(_ someParam : TempObject , someParam2 : TempObject2){
        someValue1 = someParam;
        someValue2 = someParam2;
    }

    convenience init(_ someParam : TempObject, someParam2 : TempObject2){
        self.init(someParam, someParam);
        someValue3 = 5;
    }

    convenience init( _ someParam : TempObject){
        let someParam2 = TempObject2();
        self.init(someParam, someParam2);
    }
}
//초기화
let someParam : TempObject = TempObject();
let someClass : SomeClass = SomeClass(someParam);

위에서 설명했듯이 let 변수는 정의 초기화 함수 내에서 초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위에 정의 초기화를 super class의 init을 오버라이드 했다.
오버라이드 하지 않고 쓰기 위해서는 아래 처럼 간단하게 사용 하면된다.

class SomeClass : NSObject{
    let someValue1 : TempObject;
    let someValue2 : TempObject2?
    var someValue3 : Int;

    init(_ someParam : TempObject, someParam2 : TempObject2){
        someValue1 = someParam;
        someValue2 = someParam2;
        super.init();
        someValue3 = 5;
    }

    convenience init( _ someParam : TempObject){
        let someParam2 = TempObject2();
        self.init(someParam, someParam2);
    }
}
//초기화
let someParam : TempObject = TempObject();
let someClass : SomeClass = SomeClass(someParam);

마찬가지로 정의 초기화에서 let을 초기화 시켜주어야 한다.

첫 초기화로 호출 되어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두번째 호출이라고 주석 단 부분에 또한 편의 초기화이다.
ㅇㅇ 쉽게 convenience -> convenience 가 된다. 그리고 그 끝은 designed(지정) 초기화가 있어야만 한다.
구글링 해보면 몇 가지 법칙이라고 정리 되어 있던데, 난 그런 법칙은 모르겠구, 내 수준으로 정리를 하면
1. let 변수는 super.init() 호출 전에 초기화가 되어야 하며, 정의(Designed) 초기화내부에서만 초기화가 가능하다.
2. 편의->편의->지정 같이 초기화의 마무리는 항상 지정 초기화가 되어야 한다.

Java 스타일의 초기화랑 비교를 하면, Java 의 경우 초기화 함수를 여럿 만들어 주면 된다. 그냥 입맛에 맞게 만들어서 사용하면된다. 그리고, super 클래스 초기화를 부르고 싶으면 쓰고, 안쓰고 싶으면 안 쓰면 된다.
super class의 초기화도 오버라이드 하든 말든 마음대로 내키는 대로 하면 된다. 초기화 선언이 없으면 고냥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
Swift는 조금 색다르게 표현했다. 편의(convenience) 초기화는 말 그대로 편의를 위해서 만들어지는 정식적인 초기화는 아니고, 정의(Designed)초기화를 통해서만 모든 초기화가 이루어진다고 보면 된다.

'모바일 개발 > iOS-Swi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WKWebVIew 에서 쿠키  (2) 2017.12.14
Posted by
|